본문 바로가기
생활(시사)정보/유용한 정보들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설정 방법

by good4me 2025. 4. 2.

goodthings4me.tistory.com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방법을 몰라서 헤매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시행착오를 겪었던 썰을 좀 풀어보겠습니다.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초보 블로그 운영자라면 꼭 알아야 할 ads.txt 파일 설정 방법에 대한 글이니 꼭 읽어보시고, 문제를 해결하세요!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설정 방법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위한 설정 방법 등에 대한 시행착오로 얻은 썰 풀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수익화를 고려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구글 애드센스를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애드센스를 신청하고 승인을 받았는데도 광고가 제대로 게재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ads.txt 파일을 설정해 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보신 적이 있나요? 오늘은 바로 이 ads.txt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ds.txt란 무엇인가?

ads.txt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약자로, 광고 판매자를 인증하는 텍스트 파일입니다. 이는 광고 사기를 방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광고 네트워크를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네요!

 

쉽게 말해, 블로그 운영자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구글 애드센스를 비롯한 합법적인 광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ds.txt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원활하게 표시되지 않거나 수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 ads.txt 설정이 중요한 이유

  1. 광고 수익 보호: ads.txt 파일을 설정하면 승인된 광고 네트워크만 광고를 게재할 수 있어 부정 광고를 방지할 수 있고,
  2. 광고 게재율 증가: 구글이 ads.txt 설정을 권장하는 이유는 광고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고, 이를 설정하면 광고주들이 더 안심하고 광고를 집행할 수 있어 광고 게재율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3. 애드센스 정책 준수: 구글 애드센스는 ads.txt 파일을 설정하지 않아도 광고 게재가 가능하지만, 설정하지 않으면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ads.txt를 설정하는 것이 수익 안정성에 도움이 됩니다.

 

ads.txt 설정 방법

 

ads.txt 파일을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블로그 플랫폼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플랫폼별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설정하는 방법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ads.txt 파일을 직접 추가하거나 플러그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직접 파일 추가하는 방법

  1. 텍스트 편집기를 열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합니다. (여기서 "pub-xxxxxxxxxxxxxxxx"는 본인의 구글 애드센스 퍼블리셔 ID로 변경해야 합니다.)
  2. google.com, pub-xxxxxxxxxxxxxxxx, DIRECT, f08c47fec0942fa0
  3. 파일 이름을 "ads.txt"로 저장합니다.
  4. FTP 프로그램(예: FileZilla)을 사용하여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합니다.

FTP 프로그램으로 접속한 경우
FTP 프로그램으로 접속한 경우, www 밑에 ads.txt 업로드

 

 

(2) 플러그인을 활용하는 방법

  1.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의 우측 메뉴, 플러그인(Plugins) > 새 플로그인 추가(Add New) 버튼을 클릭합니다.
  2. "Ads.txt Manager" 또는 "Simple Ads.txt" 같은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3. 플러그인 설정 페이지에서 구글 애드센스에서 제공한 ads.txt 코드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의 우측 메뉴, 플러그인(Plugins)

 

☞ Ads.txt Manager 의 경우, 설치 후 좌측 메뉴 "설정"을 클릭하면, 하단에 Ads.txt와 App-ads.txt가 보이는데, 이것들을 클릭하고, 위에서 언급한 본인 코드 'google.com, pub-xxxxxxxxxxxxxxxx, DIRECT, f08c47fec0942fa0' 를 복붙하고 저장합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설정하는 방법

 

티스토리는 기본적으로 루트에 접근할 수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ads.txt를 업로드할 수 없습니다.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구글과 협의하여 ads.txt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무시해도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티스토리 본래의 기본도메인, 즉 goodthings4me.tistory.com을 그대로 사용할 때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 도메인(2차 도메인)을 사용할 때는 그렇지 않은데요.

 

일부 사람들이 개인도메인 사용 시 스킨편집 부분의 css 부분에 업로드하라고도 하는데, 시쳇말로 '개소리'입니다. 하라는대로 했지만, 모두 삽질이었습니다.

 

즉, 티스토리는 별도의 ads.txt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고도 하지만, 개인도메인은 예외이고, 구글 애드센스에서 ads.txt 관련 경고가 계속 표시됩니다.

 

여기서, 개인도메인 관련해서 지난 해에 티스토리에 질문한 내용과 그에 대한 답을 알려드립니다.

 

※ 2024년 6월 질문 내용

티스토리의 개인 도메인 설정에 2차 도메인(xxxx.com)을 적용해서 보안 접속 인증서(발급완료) 적용이 되어서 정상적으로 페이지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글 애드센스가 승인된 2차 도메인이라서 구글 광고가 나오고 있는데, 문제는 구글에서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등에서는 ads.txt를 설정할 수 있는데, 티스토리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티스토리의 답을 듣고 그대로 하니, 구글 애드센스 ads.txt 문제가 해결되었답니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ads.txt 해결 방법

 

쉽게 말해서, 개인도메인의 경우에는 본인의 티스토리에 애드센스 계정을 바로 연결하라는 의미입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의 "수익 > 애드센스 관리' 를 클릭하고 본인의 애드센스 계정을 연결하라는 것입니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관리 메뉴 진입
티스토리 애드센스 관리 메뉴 진입

 

3. 카페24, 가비아 등의 웹 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

자체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ads.txt 파일을 직접 업로드해야 합니다.

  1.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위의 ads.txt 내용을 입력합니다.
  2. 파일을 FTP 또는 호스팅 관리 패널을 이용하여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합니다.
  3. 업로드 후 https://도메인주소/ads.txt로 접속하여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ads.txt 설정 후 확인 방법

 

ads.txt 파일을 설정한 후에는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1.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내도메인.com/ads.txt를 입력하고 해당 파일이 정상적으로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2. 구글 애드센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ads.txt 문제 해결" 메시지가 사라졌는지 확인합니다. 보통 몇 시간에서 최대 24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ads.txt 설정 시 자주 묻는 질문

Q1. ads.txt를 설정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애드센스 광고는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지만, 구글이 수익 감소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2. ads.txt 파일에 여러 개의 광고 네트워크를 추가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광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정보를 추가하면 됩니다.

 

Q3. ads.txt 설정 후에도 "ads.txt 문제 해결" 메시지가 사라지지 않아요.

A. 변경 사항이 반영되는 데 최대 24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기다려도 해결되지 않으면 ads.txt 파일이 올바른 위치에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마무리

구글 애드센스를 이용하는 블로거라면 ads.txt 설정이 필수는 아니지만, 설정하면 광고 수익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도 어렵지 않으니 한 번만 제대로 해두면 걱정 없이 블로그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댓글